본문 바로가기
💡 경제적 자유 프로젝트

"S&P500에 투자가 뭔가요? 어떻게 투자하는 건가요?"

by 고은 부자 2025. 3. 13.

"S&P500 투자, 왜 외국인들은 월세를 택하고 우리는 전세를 택할까?"

사진: Unsplash 의 Callum Parker

💡 1️⃣ 한국인의 '전세 vs 월세'와 외국인의 투자 마인드

 

며칠 전, 미국 방송인 테일러가 한국에서 사는 집을 소개하면서 인상 깊은 말을 했어요.

"한국 사람들은 전세로 돈을 묶어두지만, 외국에서는 그 돈을 S&P500에 투자해서 수익으로 월세를 내요."

맞아요. 우리나라 부모님 세대는 '전세로 살아야 돈이 모인다'는 말을 늘 하셨죠.
❗ 하지만 요즘 시대에는 투자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어요.


💸 2️⃣ S&P500이 뭔가요? (초보도 이해 쉽게)

S&P500 (Standard & Poor's 500 Index)

  •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기업의 주가를 모아 놓은 지수
  • 쉽게 말해, 미국 경제 전체에 투자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

📈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테슬라 같은 세계 최고 기업들이 포함돼 있어요.

👉 한 번에 여러 기업에 투자하는 분산투자가 자동으로 되는 안전한 방식


💡 3️⃣ S&P500 투자, 왜 좋은가요?

미국 경제가 성장할수록 내 돈도 커지는 구조
과거 50년 평균 연 수익률 약 8~10% (복리효과)
장기 투자 시 물가상승(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높은 수익
위기 때 떨어져도 시간이 지나면 회복 (장기성장)

👉 결론: "돈을 은행에 두는 것보다, 세상을 움직이는 기업에 투자하라!"


💳 4️⃣ S&P500, 어떻게 투자하나요? (진짜 쉽게)

✔ 방법 1) ETF로 투자 (초보 추천)

ETF = 주식처럼 사고파는 펀드 (지수를 따라가는 상품)

대표 S&P500 ETF 상품 (한국 증권사에서도 매수 가능)

종목명티커설명
SPDR S&P 500 ETF SPY 가장 유명한 S&P500 ETF
Vanguard S&P500 ETF VOO 대표 저비용 ETF, 장기 투자에 적합
iShares Core S&P500 ETF IVV 운용수수료 낮고 안전성 높은 ETF

👉 삼성증권, 키움증권, 미래에셋 등 일반 증권사로 쉽게 매수 가능!


✔ 방법 2) 펀드 (간접투자)

직접 주식 사기 어려운 분들은 은행,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S&P500 펀드 가입 가능
→ 다만 수수료가 ETF보다 높을 수 있음


💸 5️⃣ S&P500 투자 시 수수료 & 세금? (꼭 알아야 할 점)

수수료 (ETF 기준)

항목내용
ETF 운용보수 연 0.03% ~ 0.09% (상품에 따라 다름)
매매수수료 (증권사) 0.1% 내외 (거래소/증권사에 따라 다름)
환전 수수료 해외 ETF 구매 시 달러 환전 필요 (대부분 0.2~0.3%)

세금 (해외 주식형 ETF 기준)

항목내용
양도소득세 연간 250만원 초과 수익에 대해 22% 부과
배당소득세 (미국)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자동 공제됨)

📌 Tip!

  • ISA 계좌로 투자 시 세금 감면 가능 (연간 일정 한도까지 비과세/분리과세)
  • 국내 상장된 미국 ETF (ex. TIGER미국S&P500)로 하면 세금 간소화

사진: Unsplash 의 Tierra Mallorca

💬 6️⃣ 왜 월세+투자 조합이 외국에서 더 일반적일까?

집값을 몫돈으로 묶어놓기보다는, 성장하는 곳(기업, 시장)에 투자
투자 수익으로 월세 내고, 남는 수익으로 자산 불리기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방어 가능 → 전세금은 오히려 가치 하락 위험

💡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투자 마인드가 조금씩 필요해지는 시대


💥 7️⃣ 나의 생각 (마무리)

예전에는 전세로 목돈 묶어두는 게 최선의 선택이었을지 몰라도,
이제는 투자와 함께 자산을 굴리는 시대인 것 같아요.

👉 월세+S&P500 투자 조합,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 여러분의 투자 방법도 댓글로 나눠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