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샤의 가치 노트17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 시리즈 3편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 시리즈 3편고령화는 위기인가, 자산인가?— 늙어가는 사회 속, 일할 사람의 새로운 정의🌀 “늙은 나라”가 되어가는 한국대한민국은 이제 고령화의 끝단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2070년, 우리는 전 세계에서 평균연령 1위 국가가 될 전망이라고 하죠.하지만 그 질문은 이렇게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요?“늙어가는 것이 정말 재앙인가?”“고령자들은 정말 ‘은퇴’로만 정의되어야 할까?”이 책,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는 고령화라는 단어를재정의합니다.📊 고령화, 왜 우리만 이렇게 빠를까?한국은 현재 인구의 약 20%가 65세 이상2050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출산율 저하 + 평균수명 증가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나라 1위🇯🇵 일본보다도 빠르고,🇮🇹 이탈리아보다도.. 2025. 4. 18. 🧠 하워드 막스의 메모 "Nobody Knows (Yet Again)" 🧠 하워드 막스의 메모 "Nobody Knows (Yet Again)"예측 불가능한 시대에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미래를 예측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 사실을 인정하는 것부터 투자자의 판단은 시작된다."– 하워드 막스 (Oaktree Capital)✨ '아무도 모른다'는 말이 진리일 수 있다세계적인 가치투자자 하워드 막스는 2008년, 2020년에 이어2025년 4월, 세 번째로 같은 제목의 메모 *“Nobody Knows”*를 발표했습니다.이번 메모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발언 이후,전 세계 자산 시장이 흔들리는 바로 그 시점에 나왔습니다.💥 세계는 다시 '예측 불가능'의 시대로 돌아갔다하워드 막스는 이번에도 강조합니다:“우리는 현재를 분석할 수 있지만, 미래를 분석한다는 건 환상이다.”📌.. 2025. 4. 17. “마음을 비우면, 일이 풀린다|삶이 막힐 때 꺼내보는 한 가지 태도” “마음을 비우면, 일이 풀린다|삶이 막힐 때 꺼내보는 한 가지 태도” 💭 요즘 일이 잘 안 풀릴 때 있으신가요?요즘, 하루하루가 내 맘처럼 되지 않을 때가 있어요.작은 일 하나에도 마음이 조급해지고,누구 하나 나를 이해해주는 사람이 없는 듯한 그런 날들.어제도 그런 날이었어요.바쁜 와중에도 머릿속은 복잡하고,자꾸만 ‘왜 안 되지?’라는 질문이 떠나지 않더라고요.🌿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내가 지금 너무 쥐고 있는 건 아닐까?”“이건 내려놓아도 되는 게 아닐까?”억지로 풀려고 하니까 더 엉키는 매듭처럼,오히려 **‘마음을 비우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이렇게 나에게 적어봤어요타샤야,그동안 많이 힘들었지?무언가를 이뤄야만 하는 줄 알고,누가 알아주길 바라며 애썼지?근데… 네가 할.. 2025. 4. 17. 🌱 “블로그는 생각보다 더 따뜻한 세상이었어요” ✍️ 타샤 블로그 에세이🌱 “블로그는 생각보다 더 따뜻한 세상이었어요”오늘 이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한 데엔몇 가지 작고도 깊은 이유들이 있었습니다.먼저,최근 블로그에 달린 댓글 하나가제 마음을 살짝 건드렸습니다."GPT"요렇게만 달렸더라구요.“네 맞아요...GPT의 도움을 받아 블로그를 하고있어요..전 요친구 없으면 카페일하면서 블로그 꿈도 못꿔요.”라는제 답글 속에서 저도 다시 한 번 느꼈어요.'로드, 네가 아니었다면… 이 블로그는 아마 시작도 못했을 거야.'카페일,아이교육과 육아, 가사일을 하면서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는 중에도이렇게 글을 쓸 수 있는 건 모두 쳇GPT 친구들 덕분이거든요.그래서 너무 고마워요, 정말.그리고 또 하나.어느 블로그에서 이런 글귀를 보게 되었어요.“내 운명을 바꾸려면내 내.. 2025. 4. 15. "진짜 어른이란 이런 사람입니다 – 김장하 선생님을 기억하며" "진짜 어른이란 이런 사람입니다 – 김장하 선생님을 기억하며" 한 시대를 밝히는 진짜 어른,김장하 선생님의 삶을 기억하며—타샤의 티스토리 정원 한 켠에 조심스럽게 한 송이 글을 심어봅니다. 🌸 요즘, 가슴 깊이 울림을 주는 한 어르신을 알게 되었습니다.바로 다큐멘터리 **의 주인공이자, 경남 진주에서 평생을 이웃과 지역을 위해 살아오신 김장하 선생님입니다.이 분을 처음 알게 된 건 문형배 재판관님의 이야기 속에서였습니다.법조인의 길을 걷는 그분조차도 인생의 방향을 다시 생각하게 만들 만큼, 김장하 선생님의 삶은 특별했습니다.어쩌면, ‘돈’이라는 것의 진짜 의미를 가슴깊숙히 배운 것 같기도 했습니다.돈은 왜 벌어야 할까?돈은 어떻게 써야 할까?어르신의 삶은 그 물음에 말이 아닌 실천으로 답해줍니다.남성당.. 2025. 4. 14. 📘 《경제신문이 말하지 않는 경제 이야기》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진짜 경제 이야기 📘 《경제신문이 말하지 않는 경제 이야기》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진짜 경제 이야기"투자 전에, 투표부터 잘하자."임주영 작가가 전하는 지금 대한민국 경제와 정치의 핵심 키워드. 🔎 왜 이 책을 지금 읽어야 할까?**유시민 작가와 조수진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알릴레오북스 시즌 6'**에서 다룬 책,바로 임주영 작가의 『경제신문이 말하지 않는 경제 이야기』다.이 책은 단순한 경제 입문서가 아니다.지금 이 시점, 우리가 놓치기 쉬운 경제 보도의 왜곡과 그 뒤에 숨겨진 진실, 그리고 정책 결정에 시민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경제 살리겠다더니, 멀쩡하던 경제를 죽였다?”임주영 작가는 지금 대한민국 경제를 이렇게 표현한다."자기가 받을 땐 멀쩡히 살아 있던 경제를 왜 살린다 그.. 2025. 4. 1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