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엄마의 성장기

🎓 AI 시대, 우리가 교실에서 꼭 바꿔야 할 단 한 가지: "판단력"

by 고은 부자 2025. 4. 1.

📍김상균 교수님 강연 요약 + 우리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

(그런데 저는 아이들만이 아닌 AI시대를 살아가야하는 모든 세대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처럼 느껴졌습니다.)

"AI가 인간보다 똑똑해지면 인간은 뭘 해야 하나요?"
"의대 가는 게 과연 안전할까요?"
"우리 아이에게 꼭 가르쳐야 할 건 뭘까요?"

이 질문에 답하는 아주 명확한 강연이 있었어요.
바로 **김상균 교수님의 "AI 시대 교실에서 이것만 바꾸면 됩니다"**라는 영상입니다.
저는 그 강연을 보고 큰 울림을 받았고, 아이와 매일 나누는 대화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 AI 시대의 핵심 역량은?

김 교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앞으로는 성적보다 '성격', 스펙보다 '판단력'이 더 중요합니다."

의사도, 변호사도, 회계사도, 심지어 판사조차도 AI로 일부 대체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가 아직 못하는 것, 그리고 앞으로도 인간이 해야 하는 것이 있죠.
그게 바로 "판단하고, 책임지는 힘", 다시 말해 **"판단력"**입니다.


🎯 교수님이 말한 미래형 인재의 5가지 역량 (STAR 프레임워크)

  1. S = Start
    : 시작하는 힘.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첫걸음을 내딛는 용기
  2. T = Try
    : AI 도구를 활용해서 실험하고 시도하는 유연함
  3. A = Amplify
    : AI를 통해 나의 능력을 증폭시키는 기술
  4. R = Recover
    : 단순히 시간을 아끼는 게 아니라, 의미 있게 효율화하는 사고
  5. + 질문력, 판단력, 교감력, 적응력
    : 학교나 교실에서 이 다섯 가지 역량이 길러져야 합니다.

📚 AI 시대, 왜 의사보다 더 나은 직업이 따로 있나?

김상균 교수님은 말합니다.

“AI는 인간이 머리를 쓰는 대부분의 일을 너무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의사도 필요하지만, 과거처럼 ‘의사니까 안정적이다’는 말은 더 이상 성립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금 아이들이 준비해야 할 것은 직업 자체보다
그 직업 안에서의 나의 역할과 능력입니다.

“판단력이 있는 개발자, 교감력이 뛰어난 상담사, 질문이 좋은 창작자”
이런 사람은 AI 시대에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 부모로서, 교사로서, 우리는 어떻게 준비할까?

저는 매일 아이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효승아, AI는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어.
그래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판단하고 책임지는 것’이야.
너의 생각이, 너의 판단이, 이 사회를 바꿀 수 있어.”

 

부모인 우리도 용기가 필요합니다.
"입시에 도움이 되느냐"보다 **"이 아이가 진짜 하고 싶은 게 뭐지?"**를
조금 더 물어보는 용기요.

 


✨ 이 글을 마치며

"AI 시대, 인간이 무엇으로 살아남는가?"
그 해답은 멀리 있지 않았습니다.

바로 사람다움,
그리고 판단하고, 교감하고, 탐험할 수 있는 힘입니다.

효승이에게 이 말을 꼭 전해주고 싶습니다.
"너는 AI보다 더 멋진 판단을 할 수 있는 사람이야."
"그러니까 늘 생각하고, 질문하고, 시도하렴. 나도 네 편이 되어 줄게."


이책을 모두가 한번쯤은 읽어보고 다가올 시대에 대비했으면 좋겠습니다.^^

2030 자녀교육 로드맵 : AI 시대 우리 아이는 적응할 것인가 도태될 것인가, 빅피시, 김상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참고 영상:

김상균 교수 풀영상 - AI 시대, 교실에서 이것만 바꾸면 됩니다